Fecal incontinence

변실금증

변실금증이란?

변이 나오는 것을 의지적으로 억제하지 못하는 상태를 말합니다. 가스가 나오는 것을 억제하지 못하는 것도 변실금증의 한 종류입니다.


정도에 따라 가스실금증, 묽은변 실금증, 고형변 실금증 등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변실금증이 발생하는 기제(mechanism)에 따라 급박 변실금증과 수동적 변실금증으로 나누기도 합니다. 급박 변실금증은 변이나 가스가 나오려 할 때 이름 의지적으로 참지 못하는 상태를 말하며, 대개 항문 외괄약근의 손상이나 화음신경 장애에 의합니다. 수동적 변실금증은 잠을 잘 때 혹은 자신도 모르게 변이나 가스가 새어나오는 상태를 말합니다. 이런 수동적 변실금증은 항문 내 괄약근의 손상이나 항문 직장 점막의 감각 이상에 의한 경우가 많습니다.





가장 흔한 원인으로는 자연 분만시 생기는 손상입니다. 힘든 자연분만이나 기구를 사용한 분만으로 발생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잘못된 항문수술, 돌팔이 등에 의한 사이비치료, 복잡치부 수술 시의 과도한 괄약근 절단과 교통사고 등에 의한 항문 주의 근육 손상, 오래 된 직장탈 등도 항문 괄약근에 손상을 입혀 변실금증을 초래합니다.


화음신경이 과도하게 늘어나 생기는 경우가 가장 많습니다. 나이가 들면서 나타나는 변실금증의 대부분이 이런 원인에 의합니다. 선천성 척수 질환으로 인해 화음 신경장애가 초래되기도 합니다.


우리가 의지적으로 항문에 힘을 주어 가스나 변을 참는것은 직장에 가스나 변이 있다는 것을 인지하는 데서 시작합니다. 그러나 미세한 감각 기능의 변화로 인해 적은 양의 가스가 있다는 것을 감지하지 못하거나 가스와 변의 구분이 잘 안되는 경우, 의지적으로 괄약근을 수축시키지 않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가스나 변실금 현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크고 딱딱하게 굳은 변이 직장에 꽉 들어 차 있는 상태로 이렇게 배출되지 않은 채 들어있는 변의 위쪽에서는 부패된 붉은 변이 만들어집니다. 또한 딱딱하게 굳은 변을 배출시키기 위해 항문 괄약근이 반복적으로 이완돼 간헐적으로 벌어지는 항문 틈새로 붉은 변이 계속 새어나게 됩니다.





약화된 괄약근의 힘을 보강하고 무뎌진 직장 감각을 훈련시키기 위해서 실시하며, 항문암과 근전도를 이용한 두가지 방법이 있습니다.


골반저근육운동이라고도 불리는 케켈 운동을 요도와 방광과 자궁과 직장을 받치고 있는 근육을 강화하기 위해 실시합니다. 이 운동을 정확히 규칙적으로 하다보면 이들 근육을 강하시켜 실금증을 막을 수 있습니다.


괄약근 손상이 확인된 경우 괄약근 성형술을 시행합니다. 그러나 괴사제 주입으로 인한 손상 등에서 처럼 광범위하게 손상을 입었거나 손상 주변에 과도한 유착이 있는 경우에만 괄약근 성형술이 불가능한 때가 많습니다.


신경장애에 의한 변실금증의 수술적 치료는 뚜렷한 것이 없습니다. 다만 항문내장을 좁혀주고 항문의 길이를 늘려주는 후항문봉합술이라는 수술을 시행하기도 합니다. 괄약근 조여주는 수술은 직장탈 수술 후에도 변실금 증상을 개선하기 위해 때때로 실시합니다.


분변폐색에 의한 변실금증은 폐색된 변을 제거한 후 분변폐색의 재발을 막으면 치료됩니다.